릉과 묘의 차이점이 아시는지요. 지난 번 글에 제가 신문에 난 기사대로 종로에서 행해진 정조의 능행이라는 표현을 하였는데, 지금 보니 잘못된 것 같네요.
원래 "릉"이라는 것은 임금으로 재위중에 사망하여 만든 무덤을 말하는 것이랍니다. 따라서 지난 번 서울 종로에서 있었던 행사는 "정조의 능행"이 아니고 성묘라고 하는 것이 옳겠죠. 따라서 저도 잘못 글을 올리게 되어 죄송합니다.
지금 사도세자(장조)의 능을 표하는 융릉은 고종이 사도세자를 "장조"라 추존하고 나서 임금의 묘인 "릉"을 붙여 융릉이라고 하였답니다. -후에 다시 의황제(義皇帝)로 추존됨(고종이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고친후)
그러니 장조로 추존 되기전 까지는 융릉이 아닌 묘였겠죠. 사실 임금을 지냈지만 후에 반정으로 군으로 강등된 연산군, 광해군의 무덤도 "연산군묘", "광해군묘"라고 합니다. 물론 노산군(단종)도 숙종때 복위되면서 "장릉"이라고 추존되었답니다.
또 하나 "사도세자"의 사도라는 시호도 세자가 죽은 후에 영조가 내린 것이랍니다.
사실 융릉과 건릉(정조)에 가보면 오래된 소나무, 참나무 등이 많은데, 대부분 200년 정도 되었다고 보면 되는데, 이 나무들은 정조가 사도세자의 묘을 이곳으로 이장하고 나서 주변에 심은 나무들 이랍니다. 그런데 건릉가는 길 옆에 있는 참나무에, 표지판(가로세로 30cm정도)을 철사를 이용하여 감아 놓은 것을 보고 아직도 저런 곳이 있구나 싶었답니다.
그리고 융,건릉 옆에는 신라시대 고찰인 "용주사"라는 절이 있는데, 정조가 아버지인 사도세자의 묘를 이장후 묘를 지키는 원찰로 지정되어 중창된 사찰이랍니다. 이 용주사에는 고려시대 범종(국보 120호)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회양목이 있는데,
범종은 용뉴부분에 금이 가는 등 하였으며 그 바닥엔 "애천"이라는 영화에서 로마의 "트래비분수"에 동전을 던지며 소원을 비는 것이 전해진 것인가 수 많은 동전들이 떨어져 있답니다.
또 대웅전 앞에 있는 회양목은 정조가 원찰로 지정된 기념으로 심었다니까 200년은 넘었네요.(높이가 4-5m 정도)
참 대략적인 위치를 말씀안드렸네요. 경기도 화성군 태안면 송산리가 융,건릉 및 용주사의 행정구역상 주소랍니다.
원래 "릉"이라는 것은 임금으로 재위중에 사망하여 만든 무덤을 말하는 것이랍니다. 따라서 지난 번 서울 종로에서 있었던 행사는 "정조의 능행"이 아니고 성묘라고 하는 것이 옳겠죠. 따라서 저도 잘못 글을 올리게 되어 죄송합니다.
지금 사도세자(장조)의 능을 표하는 융릉은 고종이 사도세자를 "장조"라 추존하고 나서 임금의 묘인 "릉"을 붙여 융릉이라고 하였답니다. -후에 다시 의황제(義皇帝)로 추존됨(고종이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고친후)
그러니 장조로 추존 되기전 까지는 융릉이 아닌 묘였겠죠. 사실 임금을 지냈지만 후에 반정으로 군으로 강등된 연산군, 광해군의 무덤도 "연산군묘", "광해군묘"라고 합니다. 물론 노산군(단종)도 숙종때 복위되면서 "장릉"이라고 추존되었답니다.
또 하나 "사도세자"의 사도라는 시호도 세자가 죽은 후에 영조가 내린 것이랍니다.
사실 융릉과 건릉(정조)에 가보면 오래된 소나무, 참나무 등이 많은데, 대부분 200년 정도 되었다고 보면 되는데, 이 나무들은 정조가 사도세자의 묘을 이곳으로 이장하고 나서 주변에 심은 나무들 이랍니다. 그런데 건릉가는 길 옆에 있는 참나무에, 표지판(가로세로 30cm정도)을 철사를 이용하여 감아 놓은 것을 보고 아직도 저런 곳이 있구나 싶었답니다.
그리고 융,건릉 옆에는 신라시대 고찰인 "용주사"라는 절이 있는데, 정조가 아버지인 사도세자의 묘를 이장후 묘를 지키는 원찰로 지정되어 중창된 사찰이랍니다. 이 용주사에는 고려시대 범종(국보 120호)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회양목이 있는데,
범종은 용뉴부분에 금이 가는 등 하였으며 그 바닥엔 "애천"이라는 영화에서 로마의 "트래비분수"에 동전을 던지며 소원을 비는 것이 전해진 것인가 수 많은 동전들이 떨어져 있답니다.
또 대웅전 앞에 있는 회양목은 정조가 원찰로 지정된 기념으로 심었다니까 200년은 넘었네요.(높이가 4-5m 정도)
참 대략적인 위치를 말씀안드렸네요. 경기도 화성군 태안면 송산리가 융,건릉 및 용주사의 행정구역상 주소랍니다.
'역사상식들의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 최대의 좌불상이라...... (0) | 2000.07.18 |
---|---|
기차 길에 "또아리 굴"을 만든 이유는? (0) | 2000.07.10 |
지지대고개를 아십니까? (0) | 2000.07.01 |
신문에 난 동관묘(관우의 신당) 기사를 읽고 (0) | 2000.06.26 |
"해운대"란 지명은 최치원이 붙였다. (0) | 2000.06.18 |